맘편한임신 원스톱 서비스,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임신을 하면 다양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,
개별적으로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임신과 출산을 앞둔 부모가 필요한 지원을
한 번에 신청할 수 있도록 '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'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목차
- 맘편한임신 지원대상 및 주요 혜택
- 맘편한임신 원스톱 서비스 신청 방법 및 절차
- 맘편한임신 서비스 신청 시 필요한 서류 및 유의사항
- 맘편한임신 신청 후 혜택 확인 및 추가 지원 정보
맘편한임신 지원대상 및 주요 혜택
맘편한임신 서비스는 임신한 여성과 태아의 건강을 보호하고,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
정부가 제공하느 다양한 지원을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입니다.
기존에는 임신·출산 관련 지원금을 개별적으로 신청해야 했지만,
맘편한임신을 이용하면 한 번의 신청으로 모든 혜택을 자동으로 받을 수 있어 매우 편리 합니다
■ 지원 대상
·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임산부 및 배우자
·임신 확인 후 정부의 지원을 받고자 하는 가정
· 임산부 의료비 및 출산 지원금이 필요한 가정
■ 선정기준
· 신청일 기준 임산부(내국인)
※ 임신정보 제공 동의 또는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 지급신청서 제출 필요합니다
■ 주요 혜택 및 신청 가능한 지원금
<일반서비스>
① 엽산제 지원(임신주수에 따라 지급수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)
- 개별신청시 임신 전후 3개월까지 신청 가능합니다
② 철분제 지원(임신주수에 따라 지급수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)
- 개별신청시 임신 16주 이후 신청 가능합니다
③ 표준모자보건수첩
- 개별신청시 임산부 ~ 36개월 여유아 대상으로 신청 가능합니다
④ 맘편한 KTX 특실 할인
- 개별신청시 출산 후 1년까지 신청 가능합니다
⑤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(국민행복카드)
- 개별신청시 출산예정일 40일전 ~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
⑥ 청소년 산모 임신 · 출산 의료비 지원
⑦ SRT 임산부 할인
- 개별신청시 출산 후 1년까지 신청 가능합니다
<소득요건에 따른 서비스>
⑧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(의료급여수급자 해당)
⑨ 에너지바우처 (의료급여수여자, 생계급여수급자만 해당)
⑩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지원
- 기준중위소득 150%이하, 기초생활보장수급자(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), 차상위계층, 예외지원 대상이 해당
EX) 희귀난치성질환, 장애인, 새터민, 미혼모 산모 등
<통합안내 · 개별신청 서비스>
⑪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
(기준중위소득 180%이하, 기초생활보장수급자(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), 차상위계층이 해당
⑫ 출산 전후·유사산 휴가급여
⑬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
⑭ 여성 장애인 교육 지원
<지자체 서비스>
⑮ 지자체 제공 서비스(임산부 배지, 임산부 주차증, 임신축하선물 등)
*지자체별 제공 서비스가 다릅니다
맘편한임신 원스톱 서비스 신청 방법 및 절차
맘편한임신 서비스는 임신이 확인된 후 산부인과에서 임신확인서를 발급 받고,
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■ 신청 방법
※ 임산부 본인만 신청가능합니다
1. 온 라 인 신 청 - 정부24 홈페이제에서 신청 가능합니다
정부24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
◆ 신청 절차
① 정부24 홈페이지 방문하기
정부24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
② 간편인증 또는 공인인증서 본인인증 후 로그인하기
③ 임신 관련 서비스 통합처리(맘편한임신) 신청서 작성하기
④ 필수 서류 제출(아래 서류 목록 참고)
⑤ 지원금 및 혜택 심사 후 지급
⑥ 신청 완료 후 개별 지원금 및 혜택이 순차적으로 지급됩니다
2. 방 문 신 청 - 주민등로 주소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 가능합니다
맘편한임신 서비스 신청 시 필요한 서류 및 유의사항
■ 필수 제출 서류
· 임신확인서 (산부인과에서 발급 가능합니다)
· 신청자 신분증 (온라인 신청 시 본인 인증으로 대체 가능합니다)
· 건강보험증 사본 (의료비 지원 대상 확인용)
· 배우자 신분증 사본 (필요 시 요청될 수 있습니다)
· 기타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추가 서류 (지자체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)
□ 신청 시 유의할 점
· 임신 확인 후 빠르게 신청해야 모든 혜택을 제때 받을 수 있습니다
· 소득 및 건강보험료 기준에 따라 일부 지원금은 차등 지급될 수 있습니다
· 지자체별 추가 지원금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 지역의 혜택을 사전에 확인 필요합니다
· 국민행복카드 발급 시 지원금을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해야 합니다
※ 임신 12주 이전에 신청하면 엽산 지원부터 출산 전까지 받을 수 있는
혜택이 많아지므로 조기 신청이 유리합니다
맘편한 임신 서비스 신청 후 혜택 확인 및 추가 지원 정보
맘편한임신 원스톱 서비스 신청 후, 지원금 및 바우처가 정상적으로지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
□ 신청 후 혜택 확인 방법
· 정부24 홈페이지 신청 내역 및 지급 현황 확인 가능합니다
정부24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
· 각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서 진행상황 문의 가능합니다
· 건강보험공단 및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의료비 지원 내역 확인 가능합니다
국민건강보험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
보건복지부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
※ 임신 후 지원 혜택을 빠르게 지급받기 위해, 임신확인서 발급 후
'맘편한임신 원스톱 서비스'를 바로 신청하셔서 혜택받으시길 바랍니다.
'정부지원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2차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 사업 신청방법 및 혜택 총정리 정부지원대출 (0) | 2025.04.09 |
---|---|
유아학비(누리과정) 신청 방법 완벽 가이드 및 혜택 총 정리 (0) | 2025.04.07 |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 및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4.07 |
경상남도 소상공인 맞춤 컨설팅 지원 사업 신청 방법 및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4.06 |
출산 관련 서비스 통합처리(행복출산) 신청 방법 및 혜택 총 정리 (0) | 2025.04.04 |
경상북도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사업 신청방법 및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4.03 |
부산광역시 에너지진단 및 시설개선 지원사업 신청방법 및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4.01 |
소상공인 SNS활용 패키지 지원사업 신청방법 및 혜택 총 정리 (0) | 2025.03.31 |